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유래

삼국지 고사성어 - 괄목상대(刮目相對)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괄목상대(刮目相對) - 괄목상대 유래 이야기 - 괄목상대 유래여몽은 손권의 권유에 따라 책을 열심히 읽었고, 결국 여몽은 자기 주변에서 지식으로 자신을 이길 사람이 없게 되었다. 이후, 오나라의 책략가 노숙이 여몽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여몽의 학식이 뛰어난 것에 놀라면 말했다. "자네는 더이 상 옛날의 여몽이 아니구먼." "이에 여몽이 말했다. "선비가 사흘을 떨어져 있다가 만나면 눈을 비빈 후 상대를 해야 하는 법입니다."- 괄목상대 한자 刮[비빌 괄] 目[눈 목] 相[서로 상] 對[대답할 대] - 괄목상대 뜻 눈을 비빈 후, 상대방을 대하다. - 괄목상대 해석 상대방의 재주나 지식이 몰라볼 정도로 향상됨 - 괄목상대 더보기
삼국지 고사성어 - 오하아몽(吳下阿䝉)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오하아몽(吳下阿䝉) - 오하아몽 유래 이야기 - 오하아몽 유래여몽은 책을 열심히 읽으라는 손권의 권유에 따라 열심히 책을 읽었다.(수불석권편 참조),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의 주변에는 그를 지식으로 이길 사람이 없게 되었다. 이후, 책략가 노숙이 그와 대화를 나누었는데, 여몽의 지식에 크게 놀라며 말했다. "더 이상 자네는 오나라에 있을 때의 여몽이 아닐세!" (이후, 괄목상대 고사성어가 등장한다.)- 오하아몽 한자 吳[나라이름 오] 下[아래 하] 阿[언덕 아] 䝉[어두울 몽] - 오하아몽 뜻 오나라에 있을 때의 여몽 - 오하아몽 해석 무용은 뛰어나지만 학식이 없는 사람을 가리킴 - 오하아몽 더보기
삼국지 고사성어 - 수불석권(手不釋券)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수불석권(手不釋券) - 수불석권 유래 이야기 - 수불석권 유래손권이 하루는 여몽에게 책을 많이 읽으라고 했다. 그러나 여몽은 자신은 할 일이 많고, 병사를 이끌어야 한다며 책을 읽을 시간이 부족하다고 핑계를 댔다. 이에 손권은 책을 읽는 것은 여몽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고, 자신도 바쁜 와중에 책을 열심히 읽었다고 했다. 또한, 공자와 한나라의 광무제를 예로 들며 책 읽기의 중요성을 말했다. 이에 여몽은 책을 열심히 읽었고, 이는 뒤의 오하아몽과 괄목상대의 고사성어로 이어진다.- 수불석권 한자 手[손 수] 不[아니 불] 釋[놓을 석] 券[책 권] - 수불석권 뜻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 수불석권 해석 책을 보며 열심히 공부한다. - 수불석권 더보기
단기천리(單騎千里) 뜻, 유래-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단기천리(單騎千里)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단기천리 유래 이야기 - 단기천리 유래유비는 서주의 전투에서 조조에게 크게 패하여 유비, 관우, 장비 세 형제는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평소 관우를 높이 평가하고 있던 조조는 관우에게 항복을 권유했고, 이에 관우는 1. 항복은 조조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한나라 황실에게 하는 것, 2. 유비의 부인들을 보호해 줄 것, 3. 유비의 행방을 알면 언제라도 떠나게 해줄 것. 이 3가지 조건을 들어주면 항복하겠다고 했고, 조조는 이 조건들을 수락했다. 이후, 조조는 관우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관우를 극진하게 대접했다. 잔치를 열고, 벼슬을 내리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했으나 관우는 별다른 반응이 없었고 유비에 대한 마음은 변함이 없었다. 어느 날, .. 더보기
도원결의(桃園結義)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도원결의(桃園結義)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도원결의 유래 이야기 - 도원결의 유래나라는 어지럽고 백성의 삶이 어려웠던 때,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고, 나라에서는 병사를 모집했다. 유비는 나라를 걱정하며 한숨을 쉬다 장비를 만나 마음이 통해 주막에서 이야기를 하던 중 관우를 만났고, 그 세 명은 의기투합하여 장비의 집에 가서 앞 일을 의논했다. 그들은 형제의 의를 맺어 함께 나라를 위해 일하기로 결정했다. 다음날 장비의 집 뒤에 있는 복숭아 밭에서 의형제를 맺었고, 한 날 한 시에 죽기로 결의하며 유비가 첫째, 관우가 둘째, 장비가 셋째가 되었다.- 도원결의 한자 桃[복숭아 도] 園[동산 원] 結[맺을 결] 義[옳을 의] - 도원결의 뜻 복숭아 밭에서 의형제를 맺다. - 도원결의 해석 .. 더보기
백미(白眉)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백미(白眉)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백미 유래 이야기 - 백미 유래정사 삼국지, 촉서 마량전에 의하면 마량은 자가 '계상'으로 양양군 의성현 사람으로 형제가 모두 5명이었다. 그 5명의 형제들은 모두 재능이 뛰어났으며, 형제들의 이름에 모두 상(常)이라는 글자가 들어 있어서, 사람들은 '마씨 오상'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고향 마을에서는 5명의 형제들을 일컬어 '마씨 오상 중에 백미가 가장 뛰어나다' 고 했는데, 형제 중에 마량이 가장 재주가 뛰어났고 그의 눈썹에 털이 하얀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보고 백미라고 하였다.- 백미 한자 白[흰 백] 眉[눈썹 미] - 백미 뜻 흰 눈썹 - 백미 해석 여럿 중에 가장 뛰어남 - 백미 더보기
반골(反骨)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반골(反骨)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반골 유래 이야기 - 반골 유래관우가 장사 땅을 취하기 위해 쳐들어오자 장사태수 한현의 부하였던 황충은 이에 맞서 싸웠다. 한현은 말에서 떨어진 황충을 관우가 그냥 보내준 것과 다음날 황충이 일부러 관우를 죽이지 않은 것을 이유로 황충의 내통을 의심하여 황충을 죽이려 하였다. 이 때, 위연이 나타나 황충을 구한 후, 백성을 선동하여 한현을 죽였다. 나중에 제갈량이 와서 위연은 '반골'로 배반할 상이라며 위연을 참수하려고 하였으나 유비가 용서해주었다.(이후, 위연은 실제로 반란을 일으키지만, 이를 예측한 제갈량의 계략에 의해 위연은 죽임을 당한다.)- 반골 한자 反[되돌릴 반] 骨[뼈 골] - 반골 뜻 뼈가 거꾸로 솟아있다. - 반골 해석 권력에 순.. 더보기
읍참마속(泣斬馬謖)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읍참마속(泣斬馬謖) 뜻,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 읍참마속 유래 이야기 - 읍참마속 유래촉나라 장수 마속은 재주가 뛰어나, 제갈량은 그를 아꼈으나, 유비는 제갈량에게 마속이 과대 평가된 인물이라고 말했다. 이후, 제갈량은 위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북벌을 떠났고. 북벌에서 가장 중요한 거점이었던 '가정'이라는 곳에 마속을 보내어 그 곳을 방어하게 했으나, 주요 길목에 진을 치라는 제갈량의 조언을 무시하고 산 위에 진을 쳐서 위나라에게 대패했다, 이로 인해 촉나라는 후퇴할 수 밖에 없었고 제갈량의 첫 번째 북벌은 실패로 끝났다. 이에 제갈량은 울면서 마속을 참수하라고 명령하였고, 유비의 선견지명에 감탄하고 자신의 안목에 대해 한탄하며 통곡하였다. - 읍참마속 한자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더보기